2017/18년 아시아문화원의 ISO 26000 대응 수준 진단(외부 전문기관 의뢰) 결과, 프로세스 측면은 360점 만점에 322점을, 성과 측면은 640점 만점에 546점으로 총점 868점을 획득하여 SR 4단계에 해당되는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SR 4단계 사회적책임에 대한 조직 구성원의 인식 수준이 높고 조직의 운영 시스템과 정책과 관행이 정비되어 있음.
조직 활동의 전 단계에 사회적책임 활동이 통합 운영되어 성과관리도 효과적임. 조직의 영향권 내에서 사회적 책임을 촉진하고 지역사회와의 연대 강화를 통해 지속적 유지 관리가 필요한 단계 (SR 4단계 800이상, SR 3단계 800미만 - 600이상, SR 2단계 600미만 - 300이상, SR 1단계 300미만)
조직 활동의 전 단계에 사회적책임 활동이 통합 운영되어 성과관리도 효과적임. 조직의 영향권 내에서 사회적 책임을 촉진하고 지역사회와의 연대 강화를 통해 지속적 유지 관리가 필요한 단계 (SR 4단계 800이상, SR 3단계 800미만 - 600이상, SR 2단계 600미만 - 300이상, SR 1단계 300미만)
사회적 책임 프로세스 진단 결과
![]() |
사회적 책임인식 | 경영자의 의지를 바탕으로 조직의 현 상황을 검토 |
이해관계자 식별과 참여 | 이해관계자의 관심과 요구사항을 검토, 참여전략을 수립 | |
핵심주제와 이슈 분석 | 쟁점 검토와 조직 내부역량 분석을 통해 이슈목록 작성 | |
우선순위 설정 및 실행전략, 계획수립 | 조직역량을 고려해 개선관리 해야 할 이슈의 우선순위, 목표와 실행계획을 수립 | |
실행 | 전략과 비전, 목표와 실행계획을 이행하고 사회적 책임 성과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 |
의사소통 | 성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이해관계자와 의사소통 | |
검증 | 성과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활동과 보고 | |
개선 | 성과를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지속적 개선으로 연결 |
사회적 책임 성과 진단 결과
![]() |
조직 거버넌스 | 사회적 책임 원칙을 존중하고 이를 기존의 시스템, 정책과 관행에 통합하는 활동 |
인권 | 조직 내와 조직의 영향권 내의 인권을 존중하고 보호·준수하며 실현하는 활동 | |
노동관행 | 조직 내와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근로자의 노동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과 관행 | |
환경 | 환경에 미치는 조직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조직의 결정과 활동의 의미를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활동 | |
공정운영관행 | 조직과 파트너, 공급자 등 조직과 타조직간 거래의 윤리적 행동에 관심을 두는 활동 | |
소비자이슈 | 소비자교육, 공정하고 투명한 마케팅정보와 계약, 지속가능소비 촉진 등 소비자 권리 보호 활동 | |
지역사회 참여와 발전 | 지역사회의 권리를 인식하고 존중하며 그 지원과 기회를 극대화하려고 노력하는 활동 |
아시아문화원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점검하기 위해 사회적 책임의 국제표준인 ISO26000에 기반하여 전반적인 이행수준을 진단하였습니다.
(외부 전문기관 의뢰)
2019년도 경영 활동의 이행수준을 진단한 결과, 프로세스 측면은 326점/360점을, 성과 측면에서는 573점/640점으로 총점 899점/1,000점을 획득하여 SR 4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외부 전문기관 의뢰)
2019년도 경영 활동의 이행수준을 진단한 결과, 프로세스 측면은 326점/360점을, 성과 측면에서는 573점/640점으로 총점 899점/1,000점을 획득하여 SR 4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SR 4단계
사회적책임에 대한 조직 구성원의 인식 수준이 높고 조직의 운영 시스템과 정책과 관행이 정비되어 있음. 조직 활동의 전 단계에 사회적책임 활동이 통합 운영되어 성과관리도 효과적임. 조직의 영향권 내에서 사회적 책임을 촉진하고 지역사회와의 연대 강화를 통해 지속적 유지 관리가 필요한 단계(SR 4단계 800이상, SR 3단계 800미만 - 600이상, SR 2단계 600미만 - 300이상, SR 1단계 300미만)
사회적 책임 프로세스 진단 결과
![]() |
사회적 책임인식 | 경영자의 의지를 바탕으로 조직의 현 상황을 검토 |
이해관계자 식별과 참여 | 이해관계자의 관심과 요구사항을 검토, 참여전략을 수립 | |
핵심주제와 이슈 분석 | 쟁점 검토와 조직 내부역량 분석을 통해 이슈목록 작성 | |
우선순위 설정 및 실행전략, 계획수립 | 조직역량을 고려해 개선관리 해야 할 이슈의 우선순위, 목표와 실행계획을 수립 | |
실행 | 전략과 비전, 목표와 실행계획을 이행하고 사회적 책임 성과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 |
의사소통 | 성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이해관계자와 의사소통 | |
검증 | 성과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활동과 보고 | |
개선 | 성과를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지속적 개선으로 연결 |
사회적 책임 성과 진단 결과
![]() |
조직 거버넌스 | 사회적 책임 원칙을 존중하고 이를 기존의 시스템, 정책과 관행에 통합하는 활동 |
인권 | 조직 내와 조직의 영향권 내의 인권을 존중하고 보호·준수하며 실현하는 활동 | |
노동관행 | 조직 내와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근로자의 노동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과 관행 | |
환경 | 환경에 미치는 조직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조직의 결정과 활동의 의미를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활동 | |
공정운영관행 | 조직과 파트너, 공급자 등 조직과 타조직간 거래의 윤리적 행동에 관심을 두는 활동 | |
소비자이슈 | 소비자교육, 공정하고 투명한 마케팅정보와 계약, 지속가능소비 촉진 등 소비자 권리 보호 활동 | |
지역사회 참여와 발전 | 지역사회의 권리를 인식하고 존중하며 그 지원과 기회를 극대화하려고 노력하는 활동 |
아시아문화원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점검하기 위해 사회적 책임의 국제표준인 ISO26000에 기반하여 전반적인 이행수준을 진단하였습니다.
(외부 전문기관 의뢰)
2019년도 경영 활동의 이행수준을 진단한 결과, 프로세스 측면은 326점/360점을, 성과 측면에서는 573점/640점으로 총점 899점/1,000점을 획득하여 SR 4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2019년도 경영 활동의 이행수준을 진단한 결과, 프로세스 측면은 326점/360점을, 성과 측면에서는 573점/640점으로 총점 899점/1,000점을 획득하여 SR 4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SR 4단계
사회적책임에 대한 조직 구성원의 인식 수준이 높고 조직의 운영 시스템과 정책과 관행이 정비되어 있음. 조직 활동의 전 단계에 사회적책임 활동이 통합 운영되어 성과관리도 효과적임. 조직의 영향권 내에서 사회적 책임을 촉진하고 지역사회와의 연대 강화를 통해 지속적 유지 관리가 필요한 단계(SR 4단계 800이상, SR 3단계 800미만 - 600이상, SR 2단계 600미만 - 300이상, SR 1단계 300미만)
사회적 책임 프로세스 진단 결과
![]() |
사회적 책임인식 | 경영자의 의지를 바탕으로 조직의 현 상황을 검토 |
이해관계자 식별과 참여 | 이해관계자의 관심과 요구사항을 검토, 참여전략을 수립 | |
핵심주제와 이슈 분석 | 쟁점 검토와 조직 내부역량 분석을 통해 이슈목록 작성 | |
우선순위 설정 및 실행전략, 계획수립 | 조직역량을 고려해 개선관리 해야 할 이슈의 우선순위, 목표와 실행계획을 수립 | |
실행 | 전략과 비전, 목표와 실행계획을 이행하고 사회적 책임 성과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 |
의사소통 | 성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이해관계자와 의사소통 | |
검증 | 성과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활동과 보고 | |
개선 | 성과를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지속적 개선으로 연결 |
사회적 책임 성과 진단 결과
![]() |
사회적 책임인식 | 경영자의 의지를 바탕으로 조직의 현 상황을 검토 |
이해관계자 식별과 참여 | 이해관계자의 관심과 요구사항을 검토, 참여전략을 수립 | |
핵심주제와 이슈 분석 | 쟁점 검토와 조직 내부역량 분석을 통해 이슈목록 작성 | |
우선순위 설정 및 실행전략, 계획수립 | 조직역량을 고려해 개선관리 해야 할 이슈의 우선순위, 목표와 실행계획을 수립 | |
실행 | 전략과 비전, 목표와 실행계획을 이행하고 사회적 책임 성과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 |
의사소통 | 성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이해관계자와 의사소통 | |
검증 | 성과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활동과 보고 | |
개선 | 성과를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지속적 개선으로 연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