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상황에도 교류·유통 실적 전년대비 31.3% 증가
"코로나19 상황의 대응 뿐 아니라, 뉴노멀 시대에 문화 콘텐츠의 선도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 기존 방식의 교류·유통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
(ACI 미래전략추진단 회의, 2020.6)
설립목적을 나타낸 표
구분 |
2019년 |
2020년 |
전년대비 |
비고 |
교류 |
45건 |
54건 |
20.0% ↑ |
온라인 병행 |
초청 |
22건 |
34건 |
54.5% ↑ |
온라인 9건 |
공연유통 |
45건 |
58건 |
28.9% ↑ |
온라인 32건 |
교육유통 |
83건 |
110건 |
32.5% ↑ |
온라인 병행 |
교류 및 유통 실적 비교(2019년 및 2020년)
설립목적을 나타낸 표
추진 노력 |
|
추진 성과 |
- (교류) ACIC 등 신규 온라인 채널 구축으로 협력 다각화
- (초청·공연유통) 기관협력 강화, 생중계/온라인 송출 활용
- (교육유통) 비대면 수요 반영 교구재 제작 및 온·오프라인 동시보급
|
- <보이야르의 노래> 국제 아동공연예술마켓 (IPAY) 공식 쇼케이스(Official Spotlights) 선정
- 교류·유통 실적 전년대비 31.3% 증가
|
설립목적을 나타낸 표
대외 인증·수상 |
- 중앙아시아 이주서사스토리텔링극 <나는 고려인이다> 관련 감사장 - (사)고려인마을(’20.11.23.)
- 유네스코 아·태 기록유산 전시 플랫폼 구축 감사장 – MOWCAP(’20.11.20.)
- 방방곡곡 문화공감사업 공모 총 4작품 선정 –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20.1.30.)
|
아시아 문화 콘텐츠 유통 현황
아시아문화원은 국제 문화외교에 기여하고, 설립목적 달성을 위해 선순환 체계(연구-창제작-유통)에 따라 콘텐츠를 유통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는 국내·외 아트마켓 및 박람회 참가와 유통판로 채널 개척을 통해 전년도 대비 유통실적은 109건에서 168건으로, 유통 수입은 1.5배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문화기술의 변화와 문화의 다양성에 따른 맞춤형 콘텐츠를 유통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해 나갈 예정입니다.
유통현황
유통실적 |
유통수입 |
콘텐츠 종류별 유통현황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