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통시스템 고도화 및 유통기반 확대
아시아문화원은 기관 콘텐츠의 유통 다각화와 저작재산권 문제 및 코로나19로 인한 유통의 제약 측면을 극복하기 위해 개선활동을 실시하였습니다.
가장 먼저 유통 활성화를 위해 유통 검토 단계를 강화하였으며, 예술인·단체 등 창작자와의 저작재산권 보유 문제 해결을 위해 공연 유통 사용료 운영 매뉴얼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신규 유통판로 및 기회 확대를 위해 외부 공모 참여와 미디어·온라인 시장 개척 등을 통해 2020년 총 유통 실적의 75.9%가 신규로 창출되었습니다.
가장 먼저 유통 활성화를 위해 유통 검토 단계를 강화하였으며, 예술인·단체 등 창작자와의 저작재산권 보유 문제 해결을 위해 공연 유통 사용료 운영 매뉴얼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신규 유통판로 및 기회 확대를 위해 외부 공모 참여와 미디어·온라인 시장 개척 등을 통해 2020년 총 유통 실적의 75.9%가 신규로 창출되었습니다.
주요 현안 | 개선활동 |
![]() |
주요 실적 | |
유통 환류 강화 및 다각화 요구 |
![]() |
1단계(창작지원)
기획 ▶ 쇼케이스 ▶ 본공연 ▶ 전문가 및 관객평가
2단계(유통활성화)
유통 목적 품평회 유통 ▶ (온·오프라인 다각화)
|
![]()
|
|
코로나19로 유통 제약 |
|
|||
저작재산권 문제 개선 요구 |
![]() |
|
|
2) 온·오프라인 투트랙 전략으로 유통 패러다임 전환
아시아문화원은 코로나19로 인한 위기극복과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투 트랙 전략으로 유통 패러다임을 전화하고자 하였습니다.
기존 콘텐츠 유통 방식이 작품성, 공연장, 대면, 기록물 위주 권리관계를 중심으로 하였다면, 첨단기술 융합, 자체 온라인 플랫폼 구축, 기관 간 기술 협력·공동 유통, 온라인 상영 서비스를 포함한 지적재산권 권리 법위 확장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유통 방식을 외연적으로 확장해 나갔습니다.
이를 통해 공연 콘텐츠는 전년 대비 28.9%를(’19년 45건 → ’20년 58건), 교육 콘텐츠는 전년 대비 32.5%가(’19년 83건 → ’20년 110건) 상승하였습니다.
기존 콘텐츠 유통 방식이 작품성, 공연장, 대면, 기록물 위주 권리관계를 중심으로 하였다면, 첨단기술 융합, 자체 온라인 플랫폼 구축, 기관 간 기술 협력·공동 유통, 온라인 상영 서비스를 포함한 지적재산권 권리 법위 확장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유통 방식을 외연적으로 확장해 나갔습니다.
이를 통해 공연 콘텐츠는 전년 대비 28.9%를(’19년 45건 → ’20년 58건), 교육 콘텐츠는 전년 대비 32.5%가(’19년 83건 → ’20년 110건) 상승하였습니다.
(위기극복) 유통실적 유지를 위한 투트랙 전략 |
![]() |
(기회포착) 유통패러다임 전환 및 다각화 | ||
(공연) 오프라인 유통 + 신규 방식의 온라인 유통
(교육) 맞춤형 온라인 콘텐츠 제작 및 보급 확대
(출판) 온라인 서점 중심 그림책 유통 확대
|
|
|||
(기존) 국내외 마켓 및 네트워크 기반 유통 |
(확장) 디지털 플랫폼 연계 맞춤형 콘텐츠 유통 |
|||
(콘텐츠 및 기술) 작품성 및 무대기술 집중 |
▶ | 연극성-콘텐츠, 영상-첨단기술 융합 (첨단 모션센싱, 리얼타임랜더링 등) |
||
(플랫폼)극장 기반 유통 | ▶ | 자체 플랫폼 + 글로벌 플랫폼 활용 | ||
(네트워크)콘텐츠 위주 협력 | ▶ | 콘텐츠 + 기술 협력· 공동유통 | ||
(제도)기록물 위주 권리관계 | ▶ | 온라인 등 지적재산권 권리범위 확장 | ||
|
3) 공공수요 특성에 부합하는 콘텐츠 보급 및 유통 증대
현안 |
|
||
---|---|---|---|
추진방향 | (기술수요) 우수 IP기반 협업으로 융복합 콘텐츠 공공유통 확대 |
(공공수요) 문화소외계층 등 대상 문화 서비스 제공으로, 공공성 강화 |
(교육수요) 기관 교육사업과 연계한 온라인 콘텐츠 확충, 유통·보급 확대 |
추진실적 |
|
|
자체 플랫폼 활용 < 채널 ACC >
협업 실감콘텐츠 개발 → 초등교육 활용
북클럽 등 활용 교육콘텐츠 보급 확대
|
추진성과 |
|
2019년 사업내용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