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9-5566
09:00 - 18:00 / 매주 월 휴무
  • (예매업무 09:00 -17:00)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트브
2023 유통콘텐츠북(국문)
2023 유통콘텐츠북(영문)

국내외 교류·유통

홈 로고 > 주요사업 > 국내외 교류·유통

1) 유통시스템 고도화 및 유통기반 확대
아시아문화원은 기관 콘텐츠의 유통 다각화와 저작재산권 문제 및 코로나19로 인한 유통의 제약 측면을 극복하기 위해 개선활동을 실시하였습니다.
가장 먼저 유통 활성화를 위해 유통 검토 단계를 강화하였으며, 예술인·단체 등 창작자와의 저작재산권 보유 문제 해결을 위해 공연 유통 사용료 운영 매뉴얼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신규 유통판로 및 기회 확대를 위해 외부 공모 참여와 미디어·온라인 시장 개척 등을 통해 2020년 총 유통 실적의 75.9%가 신규로 창출되었습니다.
설립목적을 나타낸 표
주요 현안 개선활동 주요 실적
유통 환류 강화 및
다각화 요구
1단계(창작지원)
기획 ▶ 쇼케이스 ▶ 본공연 ▶ 전문가 및 관객평가
2단계(유통활성화)
유통 목적 품평회 유통 ▶ (온·오프라인 다각화)
  • 공연유통 총 58건
  • ※ 온라인 유통 총 32건(55.2%)
  • IPAY 등 33개 기관 신규유통
  • ※ 총 유통 실적의 75.9%가 신규 유통
코로나19로 유통 제약
  • 유통판로 및 기회확대(공모참여, 미디어·온라인 시장 개척)
  • 문화예술분야 공공기관 등 기관협력 강화
  • 공연영상 온라인 유통은 공공성·사회적 가치 강화 차원에서, 한시적 무료 운영(2020년 유료화 전략 수립)
저작재산권 문제 개선 요구
  • 예술인(단체)의 저작재산권 보유 지속 요구 ▶ 직원 교육을 통한 인식 개선 ▶ 공연 유통 사용료 운영 매뉴얼 수립(2020.4)
  • 신규 매뉴얼 반영 계약 체결(4건)
2) 온·오프라인 투트랙 전략으로 유통 패러다임 전환
아시아문화원은 코로나19로 인한 위기극복과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투 트랙 전략으로 유통 패러다임을 전화하고자 하였습니다.
기존 콘텐츠 유통 방식이 작품성, 공연장, 대면, 기록물 위주 권리관계를 중심으로 하였다면, 첨단기술 융합, 자체 온라인 플랫폼 구축, 기관 간 기술 협력·공동 유통, 온라인 상영 서비스를 포함한 지적재산권 권리 법위 확장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유통 방식을 외연적으로 확장해 나갔습니다.
이를 통해 공연 콘텐츠는 전년 대비 28.9%를(’19년 45건 → ’20년 58건), 교육 콘텐츠는 전년 대비 32.5%가(’19년 83건 → ’20년 110건) 상승하였습니다.
설립목적을 나타낸 표
(위기극복) 유통실적 유지를 위한 투트랙 전략 (기회포착) 유통패러다임 전환 및 다각화
(공연) 오프라인 유통 + 신규 방식의 온라인 유통
  • 동영상 플랫폼 및 방송국 연계(생중계, 녹화중계)
  • 유통장소 내 특정인 대상 영상송출(유치원 등)
(교육) 맞춤형 온라인 콘텐츠 제작 및 보급 확대
  • 온라인 콘텐츠 제작 → 총 89개 기관 보급
    (어린이체험관 연계 4종, 중앙아시아 관련 3종)
  • 홈페이지를 통한 콘텐츠 제공
    (HOW FUN6, 메이커 교육 '생각하는 손' 등)
(출판) 온라인 서점 중심 그림책 유통 확대
  • 몽골, 인도, 아제르바이젠 그림책 3종 온라인 유통<(교보, 알라딘 등) 및 SNS(그림책 칼럼리스트) 홍보
  • 포스트코로나 대비 디지털 플랫폼 연계 유통체계 구축
(기존) 국내외 마켓 및 네트워크 기반 유통 (확장) 디지털 플랫폼 연계
맞춤형 콘텐츠 유통
(콘텐츠 및 기술)
작품성 및 무대기술 집중
연극성-콘텐츠, 영상-첨단기술 융합
(첨단 모션센싱, 리얼타임랜더링 등)
(플랫폼)극장 기반 유통 자체 플랫폼 + 글로벌 플랫폼 활용
(네트워크)콘텐츠 위주 협력 콘텐츠 + 기술 협력· 공동유통
(제도)기록물 위주 권리관계 온라인 등 지적재산권 권리범위 확장
  • 영상매체 플랫폼 콘텐츠 및 관객참여 공연 제작
  • 연극 <접시꽃 길 85번지 >, 관객참여공연 < 비비런 >
3) 공공수요 특성에 부합하는 콘텐츠 보급 및 유통 증대
설립목적을 나타낸 표
현안
  • (환경변화 대응) 코로나19 장기화(기술활용 콘텐츠 보급 가속화, 사회적 약자 대상 문화예쑬 수요 충족)
  • (설립목적 달성) 기관 고유사업인 아시아 문화콘텐츠 교육과 연계한 온라인 공공수요 충족 필요
추진방향 (기술수요) 우수 IP기반 협업으로
융복합 콘텐츠 공공유통 확대
(공공수요) 문화소외계층 등
대상 문화 서비스 제공으로,
공공성 강화
(교육수요) 기관 교육사업과
연계한 온라인 콘텐츠 확충,
유통·보급 확대
추진실적
  • 융복합 콘텐츠 등 기술수요 기관 발굴
  • → 기관 우수 콘텐츠 및 기술 지원·협업
  • * AI 등 기술 활용
    < I Question 3.0 > 인터렉티브 미디어아트
    국립광주과학관 협업 등 3건
  • 대여 및 기술지원 수준이 아닌 자체보유 실감콘텐츠 융합기술 및 뉴미디어 적용 협업으로 지역 기술력 동반 강화
  • 온라인 공공유통 확대
  • * 사회적 가치에 목적을 둔 온라인 유통 확대
  • 문화소외계층 대상 교구재 보급(지역아동센터 등 101개 기관)
  • 찾아가는 문화서비스
  • - (교육) 찾아가는 어린이문화원(9개교, 400여명 / 도서벽지 3개교 등)
  • - (공연) 찾아가는 청소년 진로 체험공연(7개교, 775명)
자체 플랫폼 활용 < 채널 ACC >
  • 교육 콘텐츠 59건, 조회수 2만뷰
  • 이용빈도 25.5%, 만족도 79.7점
협업 실감콘텐츠 개발 → 초등교육 활용
  • EBS, ETRI 협업 실감콘텐츠 제작 및 2개 초등학교 시범교육
북클럽 등 활용 교육콘텐츠 보급 확대
  • 그림책시리즈 비룡소 북클럽 비버* 유통
  • * 4세~초3 대상 발달 및 교과과정 연계 도서 회원제 프로그램
추진성과
  • 교육기부 문화 확산 기여 공로로 '교육기부대상' 수상(교육부장관, 2020.12.22.)
2019년 사업내용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