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문화 콘텐츠 창제작 현황
아시아문화원은 기관의 설립목적 및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아시아성, 글로벌 콘텐츠, 국제교류, 대중화, 지역친화 및 참여의 다양한 콘텐츠를 기획하고 담아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문화·예술계가 많이 위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창작자·협력사와 함께 공연, 전시, 교육 및 축제와 행사 등 총 187건의 콘텐츠를 제작·완료하였습니다.
① 콘텐츠 분야별 창제작 현황
(단위 : 건)
구분 | 2018 | 2019 | 2020 | 합계 |
---|---|---|---|---|
공 연 | 41 | 48 | 41 | 130 |
전 시 | 33 | 32 | 22 | 87 |
교 육 | 19 | 68 | 48 | 135 |
축 제 | 6 | 11 | 4 | 21 |
행 사 | 57 | 49 | 40 | 146 |
기 타* | 52 | 53 | 32 | 137 |
합 계 | 208 | 261 | 187 | 656 |
※ 기타 : 출판, 공공미술작품 제작 및 도입, 영상작품 등
② 콘텐츠 제작방식 현황
(단위 : 회, %)
구분 | 2018 | 2019 | 2020 | 합계 | |
---|---|---|---|---|---|
계 | 비율 | ||||
창제작 및 기획 | 176 | 187 | 130 | 493 | 75.2 |
초청 및 도입 | 32 | 74 | 57 | 163 | 24.8 |
합계 | 208 | 261 | 187 | 656 | 100 |
③ 콘텐츠 제작방향 현황
(단위 : 건, %)
제작방향 | 2018 | 2019 | 2020 | |||
---|---|---|---|---|---|---|
특성빈도 | 비율 | 특성빈도 | 비율 | 특성빈도 | 비율 | |
아시아 및 글로벌 콘텐츠 | 253 | 59.3 | 189 | 41.0 | 119 | 36.5 |
대중성 및 지역기반 | 174 | 40.7 | 272 | 59.0 | 207 | 63.5 |
합계 | 427 | 100 | 461 | 100 | 326 | 100 |
*특성빈도 및 비율 : 콘텐츠 기획 시 반영된 각 제작 방향별 빈도수와 연도별 구성 비율을 통해 콘텐츠 성격변화의 추이 파악(개별 콘텐츠별 제작방향은 중복될 수 있음)
아시아성 지수 도입 및 운영
아시아문화원은 기관 사업 전반에 아시아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개발에 대한 이해관계자(정부, 평가 주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자체적으로 아시아성을 진단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체크리스트 진단 결과는 아시아문화원 정책자문위원회, 연구·융복합·공연 분야 전문가 등의 자문을 통해 최종 아시아성 지수가 도출되었으며, ‘96.68점’(100점 기준)을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아시아성 : 콘텐츠 창제작 과정(투입-과정-산출-결과)을 중심으로 예산, 아시아 협력기관·참여자, 아시아 테마를 기반으로 제작·유통한 콘텐츠 건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아시아성 지수를 조사
* 아시아성 : 콘텐츠 창제작 과정(투입-과정-산출-결과)을 중심으로 예산, 아시아 협력기관·참여자, 아시아 테마를 기반으로 제작·유통한 콘텐츠 건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아시아성 지수를 조사
구분 (가중치) |
배점(점) | 지표명(단위) | '19년 실적 | '20년 | ||
---|---|---|---|---|---|---|
목표 | 실적 | 점수(점) | ||||
투입(20%) | 20 | 투입 예산 비율(%) | 28.01% | 33.61% | 30.93% | 18.40% |
과정(20%) | 10 | 아시아 협력기관 수(개) | 82개 | 99개 | 93개 | 9.394개 |
10 | 아시아 참여자 비율(%) | 86.10% | 94.7% | 90.77% | 9.584% | |
산출(30%) | 30 | 아시아성 콘텐츠 건수(건) | 99건 | 119건 | 132건 | 30건 |
결과(30%) | 10 | 관람객 아시아 이해도(점) | 4.58점 | 5점 | 4.65점 | 9.3점 |
20 | 아시아 콘텐츠 유통 실적(점) | 125점 | 150점 | 193점 | 20점 | |
합 계(100점) | 96.68 |
2019년 사업내용 자세히보기 +